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서일푼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제가 여러분들께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새삼스럽지만 이번 달부터 저의 금융자산 변화되는 모습을 매달 함께 확인하는 방식으로 블로그에 글을 올려 드릴까 합니다. 같이 공유하고자 하는 이유는 저와 여러분들이 함께 으쌰으쌰 동기부여도 되고 저의 투자마인드도 공유하고, 이런저런 토론의 시간도 마련해 보고자입니다. 이렇게 글로 쓰고 보니 좀 거창해 보이지만 별거 없습니다. 그냥 그런가 보다~ 하시면 됩니다.
블로그 활동을 시작한 지는 1년 정도 되지만 그동안 너무 성의 없이 글을 올린 거 같아 여러분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더라고요. 더욱이 제 마음 또한 편치 않았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된 블로그 글을 올릴 수 있게 마음 다잡은 것에 의미를 둬야 하지 않을까요?
글의 내용이 번잡하거나 길수 있어서 따로 목차를 표기해 뒀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해 주시면 감사하지만 시간이 없거나 번잡한 내용은 싫다! 하시는 분들은 필요한 내용만 편하게 목차를 확인하신 후 넘기셔도 됩니다. 그럼 보실까요?
- 목 차 -
- 들어가며
1. 월매수 금액
2. 월별 배당금
3. IRP
4. ISA
5. 연금저축
6. 해외일반계좌
7. 총 금융자산
- 마치며
1. 월매수 금액
3월 전체 계좌 매수 금액은 0원입니다. 이유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제가 24년에 해외일반계좌 정리 한다고 해외주식 매도를 하면서 확정 수익을 얻었습니다. 그래서 25년 5월에 배당소득세를 낼 예정이라 월급 받는 돈 모조리 투자에 투입하는 대신 세금낼 비용으로 따로 분류하고 있어요. 그래서 올해는 매수 금액이 당분간은 없을 예정입니다.
2월 중순부터 미국 주식이 조정 기간을 거치면서 절호의 기회? 찬스가 온 것 같은데요. 하필 이럴 때 현금이 다른 곳에 쓰이게 되어 좀 씁쓸하긴 합니다. 투자를 하다 보면 모든 타이밍을 맞출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손해만 보지 않는다면 그만이다라는 마인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깟 세금이야 돈 벌어서 내면 그만이다~라고 웃으며 넘겨 보려 하고 있어요. 세금이 좀 부담스럽게 나와서 벅찬 게 문제지만 말입니다 ^^;
2. 월별 배당금
투자를 시작하고 지금까지 배당을 받은 월별 그래프입니다. 한눈에 확인하기 쉽게 만들어 봤어요. 배당투자에 중점을 두지 않고 수익률에만 중점을 두지만 그래도 배당이 어느 정도 들어오나 확인하는 용도로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3. IRP
첫 번째로 확인하실 계좌는 IRP입니다. IRP 평가금액은 약 650만 원 정도 되며 납입 원금은 600만 원 정도 되는 것 같아요.
아래 표는 25년 3월 한 달 수익률이에요. 코스피와 코스닥이 함께 표기가 되어 있는데 코스피는 저의 3월 수익률 보다 상승이네요. 역시 국장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것 같아요.

아래표는 IRP 계좌를 만들고 전체기간 수익률이에요. 그래도 마이너스 나지 않고 약 14% 수익률을 얻고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최근 몇 달간 내리꽂는 걸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저렇게 내리꽂을 때면 가슴이 좀 아려오긴 하네요.

다음은 IRP 현재 포트폴리오입니다. 포트폴리오 그림이 왠지 익숙하시죠? 네 맞아요 서대리 님의 무료배포 차트를 이용해서 다들 아시는 그림일 겁니다. 이렇게 포트폴리오를 보고 있으면 정말 한눈에 쏙쏙 들어오기 때문에 다른 차트는 못쓰겠더라고요!

포트폴리오를 보시면 여러분들도 투자 중인 종목들이 보이시죠? 아마~ 1개 정도는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IRP 계좌는 안전자산 30% 담게 되어 있는데 다들 알고 계시죠? 중간에 테슬라와 엔비디아가 가로세로 길게 있는데, 저것이 IRP 안전자산으로 제가 뽑은 종목들입니다. 안전자산 이라기엔 좀 변동성이 큰 종목들이지만 기간을 길~게 보고 가져갈 생각으로 담았습니다.
4. ISA
두 번째로 확인하실 계좌는 ISA입니다. ISA 평가금액은 약 7100만 원 정도 되며 납입 원금은 6650만 원 정도 되는 것 같아요.
아래 표는 25년 3월 한 달 수익률이에요. 앞서 보셨던 IRP 보다 세 배 더 하락한 모습입니다ㅠㅠ 투자 금액이 크니 하락 금액도 만만치 않네요.

ISA 전체기간 수익률입니다. 고점 40% 수익을 찍고 현재까지 하락 중입니다. 표를 자세히 보니 고점대비 약 마이너스 30% 빠졌네요... 아무래도 ISA는 IRP종목보다 안전자산 종목이 없는 것에 영향을 받은 것 같아요. 테슬라와 엔비디아에 채권이 60~70% 섞여 있어 큰 하락은 피했던 것 같습니다. 이래서 조정장이나 하락장 에선 안전자산 비중이 필수 라고 하는군요! 또 한 번 배웁니다.

ISA 포트폴리오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ISA 계좌엔 레버리지 상품이 섞여 있습니다 찾으셨나요? 네 바로 나스닥 100 두 배 레버리지를 ISA계좌에 담고 있는데요. 그 비중도 무시 못할 정도로 큽니다.

이왕 투자를 시작했으면 조금 더 수익률을 끌어올려보자 해서 두 배 레버리지 상품을 담아 봤는데, 물론 오를 때는 좋지만 이처럼 조정장이나 하락장에선 두배로 타격이 온다는 걸 차트를 통해서 배우고 계십니다. 네네... 여러분들은 저처럼 투자하지 마세요.. 생각보다 아프네요...
5. 연금저축
세 번째로 확인하실 계좌는 연금저축입니다. 평가금액은 약 5,365만 원 정도 되며 납입 원금은 4,900만 원 정도 되는 것 같아요. 한 달 수익률이 -8.47%입니다. 포트폴리오는 IRP, ISA와 비슷한데 수익률은 조금씩 차이가 나네요. 아무래도 레버리지와 안전자산 상품 때문인 것 같습니다.

연금저축은 IRP와 ISA에 비해서 일찍 개설했는데요. 기간이 대략 3년 반 정도 된 거 같은데 수익률은 가장 못한 거 같네요😅 머가 문제일까요? 아무래도 초반엔 연습한다고 이상한 종목들을 담았던 거 같은데 기억이 안 나네요. 그래도 마이너스 안 난 게 어딥니까ㅎㅎ 이번 조정장만 잘 버텨준다면 훨훨 날아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금저축 포트도 IPR, ISA와 거의 비슷합니다. 처음엔 연금저축은 안전하게 가볼까 하며 S&P500을 담기도 하고 자산 배분도 해봤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그냥 모든 계좌를 비슷하게 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왠지 통일된 게 좋아 보여서 일까요? 아니면 수익률을 따라가기 위함일까요... 아무래도 후자 쪽 같습니다..

하지만 연금저축은 제가 퇴직하는 쯤에는 자산배분 포트로 변경해 줄 예정입니다. 아직 한참 남았지만 그동안 자산배분에 대해서 많은 공부를 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이 많이 알려주십시오~😘)
6. 해외일반계좌
해외일반계좌에서 많은 비중을 투자 중에 있는데요. 연금, ISA, IRP 합친 것보다 평가금액이 훨씬 크네요. 사실 해외일반계좌에서 먼저 투자를 시작해 연금계좌로 넘어간 것이기 때문에 일반계좌가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네요.

이번 차트는 제가 직접 만들어서 관리하는 수익률 표입니다. 한눈에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 봤는데 나름 만족하며 쓰고 있습니다. 깔끔한 걸 좋아해서... 여러분들 보기엔 어떠세요?
표를 그래프로 보면 더욱 한눈에 보기 좋더라고요. 구글스프레드시트 공부하다 만들어 봤는데 이것 또한 마음에 들어 계속 사용할 거 같습니다^^.

해외일반계좌도 2월과 3월 조정장을 피할 순 없었습니다. 저의 모든 계좌 포트는 AI 비중에 극대화된 포트로 짜여서 그런 것 같아요. 물론 각오는 하고 시작했지만. 좀 아프긴 합니다. 이런 말이 있잖아요. 인내하는 자에겐 복이 있나니... 과연 그럴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말입니다.
해외일반계좌 포트폴리오입니다. 거의 개별종목으로 구성되었고, 나머지는 ETF들로 구성된 모습이에요.

사실 이 포트는 제가 짠 것은 아니고 증권사에 계좌를 일임하여 운영하고 있어요. 증권사 측에서 알아서 종목을 골라 매수, 매도해 주며 수익률 관리 해주는 방식입니다. 물론 액티브하게 관리를 해주기 때문에 수수료가 붙긴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돼서 일단은 지켜보고 있습니다. 뭐. 제가 하는 것보단 낫겠죠?
7. 총 금융자산
21년부터 지금까지 총 계좌 차트 에요. 기간이 거의 4년 다되어 가네요. 시간 참 빠릅니다 ^^, 처음 시작할 때 미국주식이 1년 넘게 하락장 이어서 엄청 힘들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가 매수하기 좋은 기간이었던 것 같아요.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 입니다만..

중간중간 빨간색으로 표기된 곳은 1억에서 2억, 2억에서 3억으로 자산 증가 기간을 표기하기 위해서 색깔로 정리했어요. 몇 개월에 걸쳐 자산이 증가했는지 한눈에 확인하기 위함이죠. 이번 3월 파란색은 총 자산 3억을 깨고 내려와서 표시해 뒀습니다...😭
전달대비 약 10% 하락하고 2월 고점대비 약 25% 하락을 맞으면서 이번에 많은 것을 또 한 번 배우게 되네요.

확실히 자산이 많아지니 오르내림 폭도 커지는 것이 한눈에 확인이 되네요. 이젠 그만 내려갔으면 좋겠지만 언제까지 이어질지... 곧 끝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마치며
이번 글을 쓰면서 느낀 점은 하락장이던 조정장이던 현금만 있다면 마음 휘둘릴 걱정은 없다는 거예요. 제가 현금이 없기 때문에 더욱 마음이 흔들린 면도 있고 다른 분들이 많이 하시는 배당투자는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또 한 번 마음이 휘둘린 것 같습니다. 생각하기 나름이겠지만 배당투자를 중점으로 한다고 해서 또는, 현금이 많다고 해서 그것 또한 안전 한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본격적인 상승장에선 그만큼의 수익률을 놓치기 때문이죠. 뭐 어찌 됐건 결론이 중요한 거니까 현재로선 제가 아쉬울 따름입니다😅
이렇게 저의 3월 금융자산 수익률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어떻셨나요? 처음으로 공개해 봤는데 좀 쑥스럽기도 하고 나름 사명감도 깊어지는 것 같네요. 여러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글을 올려봤습니다. 혹시나 글을 읽다 궁금한 점이나 불편한 것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환영입니다^^
'투자성과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간결산] 25.04 투자성과 총정리 (ISA·IRP·연금저축·랩) (2) | 2025.05.01 |
---|---|
[유동원 랩 수익률] 25년 1분기 성과 보고서 (3) | 2025.04.23 |
[연금성과] 신한 개인연금랩 가입 후기 + 앞으로 수익률 공개합니다 (2) | 2025.04.11 |
[연금성과] IRP 계좌 수익률, 3월 운용 결과 보고 (0) | 2025.03.20 |
[성과리뷰] AI ETF의 배신? 예상 밖 수익률 정리 (2)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