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유동원 투자레터
미 증시 상승 폭 상반기 말 키워 가는 중!
미국 증시는 6월에도 꾸준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1주 동안 S&P500은 1.5%, 나스닥은 2.2%, 중소형주는 3.1% 상승했으며, 연초 대비 수익률도 S&P500은 2.0%, 나스닥 100은 3.6%에 이릅니다. 하반기 상승이 예상보다 빠르게 시작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중 무역협상 진전, 견고한 경제 성장,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등 여러 요인들이 트럼프-머스크 리스크보다 더 강한 영향을 미치며 증시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향후 1~2달 내에 S&P500이 전고점 6,147을 돌파하고, 1년 내에는 7,000 시대에 진입할 가능성도 예상됩니다.

[유동원 랩 수익률] 25.05 투자성과 반등의 시작?
안녕하세요 5월도 이제 다 지나갔습니다. 5월 한 달 동안 정말 바쁘게 지낸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셨나요? 요즘 같은 불경기에 바쁜 게 오히려 좋은 듯합니다. 네 항상 감사함을 잊지 말아
yeol5498.tistory.com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 간의 공개적 갈등으로 테슬라 주가가 급락하는 일이 있었지만, 머스크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것을 견제하고 있고, 트럼프는 오히려 해당 갈등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재정지출 확대에 강하게 반대하는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모습입니다. 민주당의 지지또한 엿보입니다. 다만, 이번 사태는 테슬라의 장기적 미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AI 사이클의 가속화가 기대되는 시기이며, 지금은 주식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종목 선별을 신중히 해야 하는 타이밍으로 판단됩니다. 현재는 주식 80%, 채권 20% 전략을 유지 중입니다.




미국 3월에는 무역수지 적자가 -1,383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4월에는 -616억 달러로 크게 줄었습니다. 이는 2분기 경제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고용지표도 완만한 둔화 수준으로, 인플레이션 자극이나 경기침체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5월 신규 고용은 13만 8천 명으로 발표되었으며, 장단기 금리차에도 큰 변화는 없습니다. 미국의 리스크프리미엄 증가율은 4.7%로 꾸준히 상승 중입니다. 전반적으로 미국 경제 지표는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예대율이 70.7% 수준까지 상승하며,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태입니다. S&P500도 이러한 경기 판단을 반영하여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아틀란타 연은은 2분기 성장률을 전분기 대비 3.8%로, 뉴욕 연은은 2.43%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1분기의 -0.2% 성장 대비 크게 회복된 수치입니다. 미국 증시는 연말까지 최소 6,600포인트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지금은 추가 매수에 적합한 구간으로 평가됩니다.




지금은 유동성 확대 국면으로 보고 있습니다. 1분기의 미국 관세 이슈가 일단락되며, 향후 정책은 금리 인하, QT 중단, QE 재개 등으로 유동성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규제 완화와 함께 AI 버블 형성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태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금융 규제 완화에 적극적이며, 은행 규제 수준을 2008년 금융위기 이전으로 되돌리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만을 연준 은행 담당 부의장으로 지명하는 등 관련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만약 미국 연준이 금리를 멈추고 QE로 전환한다면, 장기 국채 금리는 더 낮아질 수 있고, 은행 규제 완화에 따른 대출 증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단기 미국 국채 매수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유동성 확대와 규제 완화가 AI 투자 사이클과 결합되면서, 올해 AI 버블이 시작될 가능성이 50% 이상으로 판단됩니다. 내년 상반기에는 S&P500이 7,000, 나스닥이 23,000선을 넘을 수 있습니다.


미국 기업 실적은 올해 EPS 증가율이 9% 수준이며, 내년에는 13% 이상 상승이 전망됩니다. 이익 흐름이 멈추지 않고, 향후 실적 서프라이즈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외국인의 미국 투자 비중이 아직 제한적이지만, 여러 긍정적 뉴스 흐름이 이어지며 미국 S&P500이 단기적으로 10% 이상 상승할 여지도 충분합니다. 현재는 여전히 글로벌 포트폴리오의 75%를 미국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인도 중앙은행은 예상보다 큰 폭인 0.5%포인트를 인상하여 기준금리를 5.5%로 제시했습니다. 인도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 세계 4위의 경제 규모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신흥국 시장의 주식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고, 여전히 미국 대비 비중이 맞은 만큼 상승 여력이 큽니다. 한국, 대만, 베트남, 인도 등에 대한 신흥국 투자 비중 20%를 유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에 따라 AI 관련 경쟁력을 키우는 신흥국 시장도 빠르게 부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체 글로벌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최대 20%를 AI 산업 연관성이 높은 신흥국에 배분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전체적으로 AI 산업 관련 투자는 전체 포트폴리오의 2/3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마지막으로, 미국 증시는 과거 닷컴 버블 당시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1998년 10월부터 2000년 3월까지 나스닥은 약 +278% 폭등했으며, 이후 생산성 한계에 부딪히며 조정이 왔습니다. 현재는 AI 관련 설비 투자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IDC에 따르면 2028년까지 관련 인프라 투자는 2천억 달러를 돌파할 전망입니다. 2024년 상반기에는 97%의 성장이 나타났고, 연평균 42%의 CAGR이 예상됩니다. AI 관련 투자 복리 성장률이 연 30% 이상을 유지한다면, 이번 AI 사이클은 닷컴 사이클의 재현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금은 AI 관련 주식에 대해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할 시점입니다.




'글로벌 경제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원 투자레터] 25.06.23 여전히 변동성 구간, 상승장 전환 시간 필요! (7) | 2025.06.23 |
---|---|
[유동원 투자레터] 25.06.16 전쟁으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 될까? 하지만, 패닉은 금물! (7) | 2025.06.16 |
[유동원 투자레터] 25.06.02 미국의 미래 정말 불확실성 확대일까? NO. 증시는!? 상승의 가능성! (4) | 2025.06.02 |
[유동원 투자레터] 25.05.26 필요했던 숨 고르기, 장기화되진 않을 듯! (3) | 2025.05.26 |
[유동원 투자레터] 25.05.19 25년도 S&P500 20%+ 수익률 가능할까?! (3)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