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유동원 투자레터
역대 최고치 돌파 미 증시!
미 증시 지난 1주 큰 폭 상승. S&P500 + 3.4%, 나스닥 +4.2% 급등하며 연초대비 수익률 5% 수준으로 확대. 특히 나스닥 100 대형 기술주들의 경우 연초대비 +7.2% 이상으로 올해 가장 수익률이 높음. 안타깝게도 중소형주 수익률은 연초 대비 - 2.6%로서 이번 상승 장은 철저하게 펀더맨털 위주의 시대가 예상됨. 장기적으로도 나스닥 100의 수익률이 인덱스 들 중 가장 높을 확률이 아주 높다 판단.

미국 증시가 추가적으로 지속 상승하기 위해서는 경제 연착륙 성공이 아주 중요. 최근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빠르게 하락 중. 따라서, 미연준의 빠른 추가 금리 인하 정책이 중요. 미국은 현재 그 어떤 나라보다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음. 파월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관세 영향을 지켜보고 금리를 내리겠다는 의견은 너무 더딘 전략으로 판단. 따라서, 7월에 미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높게 보고있고, 늦어도 9월에는 금리 인하 예상됨.




미국 달러의 움직임은 현재 97~98 수준에서 추가 크게 하락하기 보다는 향후 금리 인하에도 불구 안정을 찾을 확률이 높다 판단.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향후 점차적으로 안정을 찾을 것이라 예상. 생산성의 향상이 미국의 화이트 컬러 노동자의 수 감소와 함께 나타나면서, 관세율 상승에도 불구 인플레이션의 급격한 상승은 없을 것으로 예상. 현재 2.4% 수준에서 큰 변화 없을 것 예상. 추가적인 급격한 유동성 확대 없이는 인플레이션 안정화 향후 12개월 동안 예상.



장단기 금리차의 변화는 안정적 모습. 이와 함께 미국 은행 여신 증가율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구간. 아직 유동성 부여가 급격하게 일어나지 않아서 여신증가율도 천천히 증가하는 상황. 현재 미국은 70.9%의 여전히 낮은 예대율의 상황으로 만약 M2 증가율이 확대될 경우 경기침체 가능성은 현저히 낮아질 것 예상. M2 증가율은 현재 전년 동기 대비 4.5%로서 과거 50년 평균 6.2% 보다 낮은 상황.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6.2% 증가율 이상으로 확대될 것 예상. 미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와 SLR규제 완화와 함께 유동성 확대는 미국 경기 침체를 막을 것이고, 증시 상승과 연결될 것이라 예상. 늦어도 올해 9월부터 금리인하를 시작해서 내년 말까지 추가 1.25% 금리 인하 예상됨. 연착륙 성공 확률 높음.





미국 유동성 확대와 함께 미국 S&P500은 향후 12개월 동안 16% 추가 상승 가능할 것 예상. 또한 미국 나스닥의 경우 향후 12 개월 간 추가 15.8~21% 상승 가능할 것 예상. 미국 증시의 이번 상승 사이클은 적어도 S&P500 기준 7,300~7,500 까지는 상승하고 끝날 것으로 예상. 여전히 공포와 탐욕 지수는 65 수준으로 연말까지 추가 상승 충분히 가능한 시기로 판단. 현재는 주식 80%, 채권 20% 투자 전략이 지속 적절한 시기. 미국 S&P500의 이익증가율이 올해 9.1%, 내년 13.8% 예상되며 이는 연착륙 성공과 선별적 기업들의 강한 이익증가율에 따른 전망으로 판단.




향후 이익증가율 추이를 보면, 2분기 실적 발표가 시작되면 1) 통신서비스, 2) IT의 이익증가율과 1) IT, 2) 헬스케어, 3) 통신서비스의 매출 증가율을 기대하고, 2025년 연간 전체도 IT, 헬스케어, 통신서비스 업종에 관심이 아주 중요. 특히, 2026년까지 이어지는 업종으로 보면, 여전히 지금은 IT 업종에 대한 투자가 가장 중요한 시기. IT 업종의 강함은 여전히 국가별 투자에 있어 미국에 가장 높은 비중을 가져가는 전략이 중요. 전체의 75% 미국 투자전략 유효. 미국의 PER과 금리를 비교할 때 여전히 미국은 거품의 벨류에이션이 아님. 따라서, 향후 12 개월 동안 미국 증시 강한 움직임 예상.








현재 선진국과 신흥국 투자에 있어 여전히 나스닥 100, 대만이 가장 투자 매력도가 높은 국가들로 올라옴. 따라서, 지금은 IT 업종에 대한 투자가 가장 중요. AI 사이클이 이제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IT 업종 내에 하드웨어 25%, 소프트웨어 40%의 투자 전략 너무나 중요. 향후 AI 사이클이 살아있는 한 나스닥 100의 상승율은 향후 3자리일 가능성이 아직도 여전히 상존. 따라서, 연간 수익률 15~20%는 충분히 기대하면서 미국 성장 기술주 인덱스 나스닥 100에 초점을 맞출 것 추천.

미국 상장 ETF를 비교 분석해 보면, 지금은 1) AI, 2) 자율주행, 3) 로봇, 4) 반도체, 5) 소프트웨어, 6) 데이터센터, 7) 원자력 업종에 관심을 가지는 전략이 유효. 대형 기술주의 수익률이 지난주 두드러지게 올라오는 상황. 향후 12 개월 동안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초점 여전히 중요. 대형 기술주 중에서 1) 오라클, 2) 테슬라, 3) 브로드컴, 4)엔비디아, 5) 알파벳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 유효. 그 외의 대형기술주 중에서는 여전히 AMD, 세일즈포스, 넷플릭스까지 관심을 확대하거나 M7이나 BATTMAN 관련 ETF로 전체 대형 성장주 투자도 유효함.
마지막 종목 선별을 보면, 1) 바이오/신약개발, 2) AI 관련 종목, 3) 소프트웨어 종목, 4) 우주항공, 5) 데이터센터에 가장 관심을 크게 두는 전략 추천. 또한 대형기술주에 전체적인 초점을 맞추지만, 중소형주에서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종목 선별 작업 아주 중요. 대부분의 종목은 미국 성장 종목이지만, 대만,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직접적으로 종목 선별 후 투자하는 전략도 유효. 따라서, 지금은 AI 시대에 어떤 국가 기업을 막론하고 성장, 가치를 둘다 갖추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종목 선별 추천.
'글로벌 경제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원 투자레터] 25.07.07 역대 최고치의 미 증시 언제까지 이어질까? (8) | 2025.07.07 |
---|---|
[유동원 투자레터] 25.06.23 여전히 변동성 구간, 상승장 전환 시간 필요! (7) | 2025.06.23 |
[유동원 투자레터] 25.06.16 전쟁으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 될까? 하지만, 패닉은 금물! (7) | 2025.06.16 |
[유동원 투자레터] 25.06.09 섬머 랠리 시작할수 있을까? 글로벌 시황 즉시분석! (5) | 2025.06.09 |
[유동원 투자레터] 25.06.02 미국의 미래 정말 불확실성 확대일까? NO. 증시는!? 상승의 가능성! (4) | 2025.06.02 |